투자공부
-
ETF 세금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과표기준가 TR투자공부 2020. 10. 6. 06:00
특히 장기투자자에게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ETF 세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절세할 수 있는 좋은 제도들도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저의 경우 자산배분 장기투자자이기 때문에 복리수익률 0.5%, 1%가 매우매우 소중합니다. 그렇기에 ETF 세금에 대해 매우 민감하고 최대한 적게 내려고 세팅을 하고 있습니다. ETF 세금제도 요약하면 위 표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ETF별로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국내상장 - 국내주식 : 양도소득세 X, 배당소득세 O 국내에 상장된 ETF이면서 국내주식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KODEX200, KODEX200TR 코스피나 코스닥 상장주식에 투자하는 이런 것들요. 국내개별주식은 시세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가 없기 때문에 국내주식에 투자..
-
속지 마세요! ETF 진짜 운용비용은 이렇게 보는 겁니다 총보수, 총비용, 운용수수료투자공부 2020. 10. 5. 06:00
보통 ETF 운용비용 보실 때 뭘 보시나요? 그냥 네이버나 운용사 홈페이지 들어가서 보이는 총보수 보지 않으시나요? 그거 보고 하시면 뒤통수 맞는 겁니다. 그건 단지 운용사가 가져가는 운용보수입니다. 우리 투자금에서 빠져나가는 ETF 진짜 비용은 따로 있습니다. 미국 ETF에 비해서 한국 ETF가 운용비용이 비싸다고들 생각하실텐데요, 좀 비싼 정도가 아니라 뒤통수 후리는 정도로 많이 비쌉니다. 저는 이거 알게 되고 너무 충격이 컸습니다. 투자하고 있는 ETF들 총비용 확인해보니 겉으로 보이는 운용보수하고 차이가 너무 컸기 때문이죠. 다행히도 일부 양심적인 ETF들은 운용보수와 총비용이 별 차이가 없었지만, 대부분이 차이가 컸습니다. 아래 말씀드리는 방법대로 꼭 투자하고 계신 ETF들 총비용도 확인해보셔서..
-
합성 ETF 합성수수료 엄청 큽니다 투자하지 마세요!투자공부 2020. 10. 4. 00:00
ETF 뒤에 합성이 붙은 것은 ETF를 만든 회사가 직접 투자자산을 운용하지 않고 남한테 맡겼을 때 붙습니다. 본인들이 직접 운용을 안 하고, 투자자산을 운용하는 회사와 수익 SWAP 파생상품 계약을 맺는 구조입니다. 이 SWAP 계약에 대해 딱히 깊이 이해할 필요는 없고, 그냥 남한테 수수료 주고 운용 대신 시키는 계약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운용을 남한테 맡겼으니 당연히 수수료도 내야합니다. 근데 이게 좀 많습니다. 아래는 제가 확인한 2개의 사례입니다. 아래 확인한 사례 2개가 운나쁘게 업계평균보다 높은 게 아니라면 다 이정도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추측해봅니다. 많건 적건 우리는 어쨌든 굳이 낼 필요 없는 수수료를 내게 됩니다. 2개 다 2%가 넘습니다. 이렇게 엄청난 수수료가 있는데 투자설명서 ..
-
한국 ETF [H] [TR] [합성], 한국 ETF 투자할 때 꼭 알아둬야 할 용어투자공부 2020. 10. 3. 23:41
한국 ETF의 경우 ETF 이름 뒤에 (H), TR, 합성이라고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별로 신경 안쓰고 투자할 수도 있지만 굉장히 중요한 것을 의미하고 있기 때문에 꼭 의미를 알고나서 투자판단을 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각각 용어의 뜻과 주의할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 TR Total Return의 약자입니다. 투자자산 배당금을 우리에게 나눠주지 않고 지가 알아서 재투자하는 ETF에 붙어있습니다. 배당을 안 주고 재투자하는 이점이 확실히 있기 때문에 저도 가능한한 TR ETF에 투자합니다. 배당을 받으면 배당소득세 15.4%를 내야합니다. 그런데 TR에서는 배당금을 안 받았기 때문에 세금을 안 내며, 세금을 안 내고 바로 재투자를 합니다. 생활비 등으로 빼먹으실게 아니라면 어차피 재투자할 꺼 괜히 세금..